IMSI (International Mobile Station Identity)란?

 

서비스 가입 시에 이동전화기에 할당되는 15자리의 고유 번호로서, 이 번호는 전세계적으로 고유하다(국제 로밍 서비스 시 사용).

15자리 번호는 이동국가코드, 이동네트웍코드, 가입자식별번호 및 국가이동가입자식별번호로 구성된다.


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이란?

 

특정 기능이나 정보의 접근을 위해 모든 GSM 기반 전화기에서 사용되는 코드로, PIN은 가입과 동시에 제공한다.


MSISDN (Mobile Station Integrated System Digital Network)란?


WCDMA IMT-2000에서는 가입자에게 두 가지 번호를 부여한다.

USIM 카드에 IMSI와 단말기에 MSISDN이라는 것이 부여되는데, 이번에 정부에서 010X로 부여한 것이 바로 MSISDN이고 이 MSISDN에는 실제로는 국가코드(우리나라 = 82)가 들어가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가입자는 상대방이 어디에 있는지 전혀 예상하지 않고서도 별도의 다이얼링 없이 전화를 걸어 상대방이 다른 국가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나의 IMSI에 4개의 MSISDN을 가질 수 있다.

GSM 네트웍에서의 전화번호란 MSISDN(Mobile Station Integrated System Digital Network)을 뜻하며 국가코드(Country Code), 네트웍코드(NetworkCode) 그리고 디렉토리번호(Directory Number)로 구성되어 있다. 반면에 IS-41C 네트웍에서의 전화번호란 휴대폰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를 뜻하며 지역번호(Area Code)와 전화번호(Phone Number)로 구성되어 있고 (NPA) Nxx-xxxx 형태를 갖고 있다

MDN (Mobile Directory Number)와 동일한 것으로, 가입자 전화번호를 의미한다.

 

UMS (Unified Message Service)란?

 

UMS 플랫폼은 이용자 관리, 오류 처리, CDR발행, UI 관리, 통계 기능, 인사정보연동 등 관리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용자 개개인의 맞춤 정보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PIMS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란?

 

개인의 일정 관리, 주소록 관리, 그룹 관리등의 다양한 개개인의 정보 맞춤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


LBS (location-based services) ; 위치 기반 서비스란?


LBS는 어떤 정보 기기 사용자가 어디에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활용하는 서비스이다. 이 서비스를 이용한 예를 하나 들자면, 무선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그 사람이 여행하고 있는 지역에 관한 특별한 광고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LBS는 어떤 네트웍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위치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 여러 기술들을 활용한다. 그 중 하나가, 원래 미국 국방부를 위해 개발된 24개의 나브스타 위성들을 이용한 GPS이다. 이 위성들을 이용하면 지상 50~100m 내의 범위에 있는 GPS 수신기의 위치를 알아낼 수 있다. LBS를 이용하려면 각각의 사용자는 GPS 수신기를 내장한 휴대장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두 번째 시도가 E911인데, 이는 긴급 구조대 파견을 위해 전화 서비스 회사가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는 서비스로서 FCC가 처음 주도하였다. E911는 또한 전화 서비스 회사들이 무선 전화의 현재 통화 위치를 제공할 수도 있게 될 것이다. E911은 미국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LBS의 예이다.

Allied Business Intelligence에 따르면, LBS 산업에서 2006년까지 약 40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이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대부분의 통신 회사들은 자신들의 네트웍 내에서 유선 또는 휴대전화 기반의 위치 추적 기술을 추구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스프린트는 2001년에 전화기 내에 GPS 칩을 내장할 계획을 발표했는데, 이는 이 분야의 산업의 초기에 활력을 불어넣어 줄 수 있을 것이다. 몇몇 다른 회사들도 초기 형태의 LBS, 그리고 위치와 관련된 시범적인 무선광고 시장에 관한 준비를 마쳐가고 있다.

LBS가 광범위하게 채택되는 것에 대한 또 하나의 장애물은 프라이버시와 쓸데없는 무선 광고 등에 관한 우려들이다. 무선통신 및 인터넷 협회, 즉 CTIA는 FCC에게 무선 위치 프라이버시에 관한 법규를 제정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CTIA는 자신들의 제안서에서, 기술적 해결방안에는 통지, 동의, 보안 그리고 기술적 중립성 등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SMIL (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란?


SMIL[스마일]을 이용하면, 웹사이트 개설자들은 비디오, 사운드 및 정지화상 등 웹 상의 표현이나 상호작용을 위한 멀티미디어 요소들을 쉽게 정의하고 동기화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의 웹상에서, 비록 동영상이나 정지화상 및 사운드 등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지만, 각 요소는 다른 것들과 분리되어 있으며, 정교한 프로그래밍이 없이는 다른 요소들과 상호작용하지 못한다. SMIL은 사이트 개설자들이 여러 편의 영화나 정지화상 들 그리고 사운드 등을 분리해서 보내더라도, 보여지는 시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해준다. 각 매체별 객체는 고유한 URL에 의해 액세스되는데, 이는 프레젠테이션들이 하나 이상의 장소로부터 도착하는 객체들로 만들어질 수 있다는 것과, 또한 그 객체들은 여러 프레젠테이션들에서 쉽게 재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SMIL은 또한 제작자에게 하나의 매체별 객체를 다양한 대역폭을 갖는 복합버전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낮은 대역폭의 버전인 웹페이지가 사용자에게 빠르게 전달 될 수 있도록 한다. SMIL은 또한 다수의 언어로 구성된 사운드 트랙을 수용할 수 있다.

SMIL 문장들은 단순하며, HTML 페이지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것과 비슷한 텍스트 편집기로 입력할 수 있다. 프레젠테이션은 오직 3개의 XML 요소들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그것은 SMIL이 HTML을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이면 누구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의도이다.

SMIL은 W3C의 조정 하에 있는 한 그룹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이 그룹에는 CD-ROM, 쌍방향TV, 웹,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리밍 산업계 등의 대표자들이 포함되어 있다. 최초의 SMIL 공식 초안은 1997년 11월에 발표되었다.

Just SMIL이 SMIL 정보에 관한 공급원이고, SMIL의 예제나 제시된 규격 등, SMIL에 관한 자세한 정보가 W3C에서 제공되고 있다.

 

AMR (Adaptive Multi-Rate)란?

 

AMR (Adaptive Multi-Rate) 음성 Codec은 IMT-2000 W-CDMA의 표준으로 채택된 음성 Codec이다. 디지털 이동 통신에서의 Bit 전송 Error는 통화 음질 저하의 가장 큰 원인이 되며, AMR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허용된 Bit 중에서 음성 압축을 위한 Bit와 Channel Coding을 위한 Bit를 Bit Error 정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전체 음질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즉, Bit Error 가 많은 환경에서는 Channel Coding에 많은 Bit 를 할당하여 많은 Bit Correction이 가능하도록 하고, Bit Error 가 적은 환경에서는 음성 압축기에 많은 Bit를 할당하여 음성 압축 성능을 향상시킨다. Intis에서는 AMR Codec을 DSP Chip에 최적으로 구현하여 IMT-2000 시스템 및 단말기를 위한 Solution을 제공한다.

Features

lMT-2000 W-CDMA 표준 음성 압축기

Full Rate Channel 및 Half Rate Channel

Full Rate는 Channel 환경에 따라 8 가지 Adaptive Rate 지원

Half Rate는 Channel 환경에 따라 6 가지 Adaptive Rate Mode 지원

응용분야 - lMT-2000 시스템 및 단말기

 

유비쿼터스 (Ubiquitous)란?

 

유비쿼터스(Ubiquitous)란 '모든 곳에 있다'라는 의미다. 다양한 정보망에서 필요한 정보를 언제 어디서든 간단하고 안전하게 손에 넣을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이 말은 인터넷을 포함한 앞으로의 정보화 사회를 장기간 이끌어 가는 상징적인 키워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유비쿼터스 컴퓨팅, 유비쿼터스 정보화사회,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유비쿼터스라는 개념은 제록스사가 제창한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처음이지만 전부터 MIT 등에서 착용컴퓨팅(Wearable Computing)과 함께 화두에 올랐다. 원류는 모든 곳에 컴퓨터가 존재하는 사회를 가정한 트론(Tron) 프로젝트라고 할 수 있다.

모든 곳에 존재하는 컴퓨터는 당연히 블루투스 등 근거리 무선통신과 인터넷 인프라에 의해 다른 컴퓨터와 연결돼 모든 곳에서 정보를 교환하게 된다.

정보를 교환하는 상대는 현재 '사람과 사람' 중심에서 '사람과 기계'가 앞으로 증가하고 이를위해 사람과 기계가 자유롭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개발과 지적 에이전트 기능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나아가 인터넷 가전 분야에서 예상되는 바와 같이 기계와 기계간 인터넷 통신도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WINC (Wireless Internet Numbers for Contents)란?

 

무선인터넷 컨텐츠 접근번호체계(Wireless Internet Numbers for Contents)의 준말로 「국가인터넷주소자원관리기관」인 한국인터넷정보센터(KRNIC)에서 무선인터넷 이용환경의 개선을 위해 실시하는 공공 서비스이다.

 

텔레매틱스 (Telematics)란?

 

텔레매틱스는 통신(Telecommunication)과 정보과학(Informatics)을 합친 신조어로써 무선 이동통신과 위치추적(GPS, 기술, 첨단지리정보시스템(GIS),콜센터 기술 등을 자동차에 결합시켜 지리정보는 물론 사고감지, 교통정보, 인터넷접속, 차량 원격제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을 뜻한다.

 

웨이블릿 (Wavelet)이란?

 

웨이블릿은 디지털 신호 처리 및 이미지 압축에 사용되는 유용한 수학 함수이다. 웨이블릿 그 자체는 새로운 것이 아니지만, 이러한 용도로 웨이블릿을 사용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웨이블릿의 근본 원리는 푸리에(Fourier) 분석과 비슷하며, 19세기 초반에 처음 개발되었다.

신호처리를 위해 웨이블릿을 이용하면 잡음 속에 섞인 약한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웨이블릿은 특히 의료 분야의 X-선 및 자기공명 이미지 처리에서 그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이런 방법으로 처리된 이미지는 세부적인 내용에 흐릿함이 없이 깨끗하게 처리될 수 있다.

웨이블릿은 인터넷 통신에서도 이미지를 압축하는데 사용되었는데, 일반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했을 때에 비해 훨씬 효율이 높다. 일부의 경우에서 웨이블릿으로 압축된 이미지는 잘 알려진 JPEG 이미지를 사용한 비슷한 품질의 이미지에 비해 파일 크기가 25% 정도 밖에는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크기가 200 KB라서 다운로드에 1분이 걸리는 JPEG 형식의 사진을 예를 들면, 웨이블릿으로 압축된 형식에서는 크기가 50 KB에 15초 밖에는 걸리지 않는다는 얘기가 된다.

웨이블릿 압축 작업은 먼저 이미지를 분석하여, 그것을 수신측에서 복원할 수 있는 일련의 수학적 표현으로 변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웨이블릿 압축 이미지 파일의 확장자는 주로 "WIF"가 붙는다. 만약 사용자의 브라우저가 이 형식의 파일을 직접 지원하지 않는다면 플러그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웨이블릿 압축은 아직 웹상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지는 않는다. 가장 보편적인 압축 형식은 아직도 도면류에는 GIF, 그리고 사진류에는 JPEG이 널리 쓰인다.

 

CBD (Component Based Development; 컴포넌트 기반 개발)란?

 

CBD는 공통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어서 여러 시스템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 코드의 구성요소를 만들고, 조립 및 재 사용하는 개발 방식이다. 이는 소프트웨어를 통째로 개발하던 기존의 방식과 달리, 부품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각 기능별로 개발하고, 각자에게 필요한 것을 선택하여 조립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개발에 드는 노력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CASE (computer-aided software engineering)란?

 

CASE는 특히 수많은 소프트웨어 요소들과 사람들이 관련된 크고 복잡한 프로젝트에서,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구조화하고 제어하는데 있어 컴퓨터의 지원을 받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CASE의 사용은 각 개발 단계별 프로젝트 상황에 대해 설계자, 프로그래머, 테스터, 계획 수립자나 관리자들이 공통의 시각을 공유할 수 있게 해준다. CASE는 부문별, 검사점 작업 진행에 도움을 준다. CASE 도구는 작업의 진도나 미진한 점 등을 그래픽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CASE는 또한 프로젝트의 사업계획, 설계요건, 설계 규격, 상세 코드 규격, 코드 단위, 테스트 문제 및 결과, 그리고 마케팅 및 서비스 계획 등을 담고 있는 문서들 및 프로그램 라이브러리 등을 위한 저장소로서의 역할을 하거나, 또는 그것들과 연결될 수도 있다.

CASE는 컴퓨터 회사들이 하드웨어 제작과정으로부터 아이디어를 빌려오기 시작한 1970년대에 생기기 시작되었으며, 그것을 소프트웨어 개발에 적용하였다 (당시만 해도 소프트웨어 개발은 대개 부문별 진행이 부적당한 것으로 비쳐져왔었다). 일부 CASE 도구들은 구조적 프로그래밍 개념과, 그와 비슷한 구조화된 개발방법론을 지원하였다. 좀더 최근에는, CASE 도구들은, 시각적 프로그래밍 도구들과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수용하거나 또는 포함해야만 했었다. 기업에서, CASE 도구는 개발되고 있는 제품의 품질 보장을 위해, 설계된 공정 범위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많은 회사들이 ISO 9000 표준에 적합한 나름대로의 감사 및 보증 과정을 가지고 있다).

CASE 또는 이와 유사한 접근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일부 이득에는, 공정의 고객 역할 (시장분석과 포커스 그룹 등을 통해)을 만듦으로써, 제품이 실세계 요건에 좀더 부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개발 과정에서 테스트와 재설계를 강조하기 때문에, 제품의 수명기간 중의 서비스 비용이 적지 않게 줄어들 수 있다. 개발을 위한 구조화된 접근방식은 코드와 설계의 재사용, 비용의 절감 및 품질 개선 등을 촉진한다. 마지막으로, 고품질의 제품은 회사의 이미지를 개선시키고, 시장에서 경쟁적인 강점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WAP Gateway (게이트웨이)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요청한 URL에 대한 문서를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한 후, 이를 엔코딩과 컴파일 과정을 거쳐 WAP 프로토콜로 변환한다. 그 다음, 이를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무선망과 인터넷을 연결하는 인프라 역할을 한다.

 

SMS Gateway (게이트웨이)란?

 

단문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단말기로도 유선 인터넷이나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솔루션으로, 인터넷 상의 다양한 정보를 관리, 저장해 가입자가 요구할 때, 적절한 형태로 변환해 전송해 준다.

 

Portal Gateway (포탈 게이트웨이)란?

 

무선 인터넷의 제한된 대역폭을 극복하기 위해, CP와 실제 사용자 사이에서 빠른 메시지 전송을 지원해 준다. 이를 위해 각기 다른 무선 데이터 서비스 방식에 따라 요청 사항을 지원해 주는 '무선 변환 기능'과 서비스 관리와 증설 예측을 위한 '통계 기능', 다른 무선 데이터 서비스 요소와의 연동으로 사용자 요청에 빠르게 응답해 주는 '프록시 기능' 등을 갖추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