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OHA, APMBS, ARPA, ATM, B-ISDN, CCITT, DCE, DSU, DTE, FEP, ISDN, ISO, ITU-T. LAN, MODEM, MULTICS, NC, OSI, POS, SMDS, SNA

 

1. ALOHA:

알로하는 하와이 대학에서 개발되었으며 시분할 다중접속 기술을 사용해, 위성과 지구 사이의 무선전송을 하는 프로토콜이다. 원래의 알로하에서, 사용자는 언제든지 전송할 수 있지만, 다른 사용자들의 메시지와 충돌할 위험이 있다. 패킷이 준비되면 브로드캐스트 되며, 만약 충돌이 일어나면 일정시간 후에 재전송된다. "Slotted Aloha"는 채널을 시간대별로 나누어서 충돌위험을 줄이는 것으로, 각 사용자는 시간대의 시작에서만 전송할 수 있다.

 

2. APMBS:
APM (advanced power management)
APM은 인텔과 마이크로소프트에 의해 개발된 일종의 API로서 개발자들이 BIOS 내에 전력 관리 기능을 포함시킬 수 있게 해준다. APM을 이용하면 배터리로 동작하는 노트북컴퓨터 등에서, 일정 기간동안 컴퓨터가 사용되지 않으면 전력을 절약하기 위해 컴퓨터 디스플레이 모니터가 저절로 꺼지거나, 시스템 자체를 절전모드로 들어가게 하는 등의 일을 할 수 있다. APM은 프로그래머가 상세한 하드웨어 내용을 알지 않아도 되도록 하드웨어와 운영체계 간에 하나의 계층을 정의한다. APM은 점차적으로 ACPI로 대체될 것으로 예상된다.

 

3. ARPA: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주소결정 프로토콜
ARP는 IP 네트웍 상에서 IP 주소를 물리적 네트웍 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여기서 물리적 네트웍 주소라 함은 이더넷 또는 토큰링의 48 bits 네트웍 카드 주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IP 호스트 A가 IP 호스트 B에게 IP 패킷을 전송고자 할 때 IP 호스트 B의 물리적 네트웍 주소를 모르는 경우, AR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목적지 IP 주소 B와 브로드캐스팅 물리적 네트웍 주소 FFFFFFFFFFFF를 가지는 ARP 패킷을 네트웍 상에 전송한다. IP호스트 B는 자신의 IP 주소가 목적지에 있는 ARP 패킷을 수신하면 자신의 물리적 네트웍 주소를 A에게 응답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수집된 IP 주소와 이에 해당하는 물리적 네트웍 주소 정보는 각 IP 호스트의 ARP 캐시라 불리는 메모리에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 후 다음 패킷 전송시에 다시 사용된다. ARP와는 역으로, IP 호스트가 자신의 물리 네트웍 주소는 알지만 IP 주소를 모르는 경우, 서버로부터 IP주소를 요청하기 위해서는 RARP를 사용한다.

 

4. ATM: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 비동기 전송 모드
[주] ATM은 automated teller machine의 약자로 고객이 은행창구에 가지 않고서도 업무를 처리 할 수 있는 '현금자동지급기'라는 일반적인 의미로 널리 쓰이기도 한다. 하지만 asynchronous transfer mode의 ATM과 automated teller machine의 ATM은 약어만 같을 뿐 전혀 다른 의미이다.
ATM은 디지털 데이터를 53 바이트의 셀 또는 패킷으로 나누어, 디지털 신호 기술을 사용한 매체를 통하여 전송하는 전용접속(dedicated-connection) 스위칭 기술이다. 하나의 셀은 개별적으로 다른 셀 들과 관련하여 비동기적으로 처리되고 회선공유를 위한 멀티플렉싱을 하기 위해 큐(queue)에 들어가게 된다.
ATM은 소프트웨어보다는 하드웨어로 더 쉽게 구현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처리 속도를 빠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현재 얘기되고 있는 ATM망의 전송속도는 155.520 Mbps 또는 622.080 Mbps 정도이지만, IEEE 스펙트럼에서는 이러한 속도가 곧 10 Gbps에까지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고 보고했다. SONET 그리고 몇 개의 다른 기술과 함께 ATM은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BISDN)의 핵심 기술이다.

 

5. B-ISDN:
BISDN (Broad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광대역 종합정보통신망
BISDN[비 아이에스디엔]은 광섬유나 무선매체 등의 광대역 네트웍에서 디지털 전송서비스를 통합하기 위한 개념, 일련의 서비스 및 표준의 개발 등을 모두 포괄하는 용어이다. BISDN은 고속 데이터를 위한 프레임 릴레이 서비스와, FDDI, 그리고 SONET 등을 모두 포함하게 될 것이다. BISDN은 2 Mbps의 속도에서부터 그 이상을 빠른 속도를 지원하게 될 것이지만, 구체적인 속도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BISDN은 협대역 가입자회선 상의 구리 전화회선을 이용해 디지털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ISDN의 광대역 판이다.

 

6. CCITT:
CCITT (Comite Consultatif Internationale de Telegraphique et Telephonique
or Consultative Committee on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y)
CCITT[씨씨 아이티티]는 통신장비 및 시스템의 협동조합 표준을 육성하기 위한 최초의 세계기구이며, 지금은 이름이 ITU-T로 바뀌었다. 스위스의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7. DCE:
DCE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or Data Communication Equipment)
네트웍 컴퓨팅에서, DCE[디씨이](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 분산 컴퓨팅 환경)는 분산 컴퓨터들의 시스템 내에서 컴퓨팅 및 데이터 교환을 설정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한 산업표준 소프트웨어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DCE는 여러 가지 다른 크기의 서버들이 지리적으로 퍼져있는 대형 컴퓨터 시스템의 네트웍 내에서 사용된다. DCE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사용한다. DCE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원격지의 서버에 있는 응용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쓸 수 있다. 프로그래머들은 그들의 프로그램이 어느 곳에서 실행되는지 또는 데이터가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등에 대해 전혀 신경을 쓸 필요가 없다.
DCE 설정시에는 대부분, 필요할 때 DCE 응용프로그램과 관련 데이터들을 찾을 수 있도록 분산 디렉토리를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DCE는 보안지원을 포함하며, 몇몇 제품들은 IBM의 CICS, IMS 및 DB2 데이터베이스들과 같은 보편적인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한 지원을 제공한다.
DCE는 몇몇 회원사들이 기여한 소프트웨어 기술을 사용하여, OSF (Open Software Foundation)에 의해 개발되었다.
컴퓨터 통신에서의 DCE (Data Communication Equipment ; 데이터 통신 기기)는 모뎀이나 다른 직렬장치들이 컴퓨터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사용하는 RS-232C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DCE 인터페이스와 DTE 인터페이스간의 관계에 대해 좀더 자세한 정보를 알기 원하면 RS-232C를 찾아 보라.

 

8. DSU:

DSU는 근거리통신망에 사용되는 통신기술로부터 나온 디지털 데이터 프레임들을 광역통신망에 보낼 수 있도록 적절한 프레임으로 변환하는 외장형 모뎀 크기의 하드웨어 장치이다. 예를 들어, 만약 자신의 집에서 웹 관련 비즈니스를 하려면 T-1 정도의 디지털 전용회선을 전화회사로부터 빌려야하는데, 이때 자신의 집과 전화회사에 각각 1개씩의 CSU/DSU를 설치해야한다.
CSU는 광역통신망으로부터 신호를 받거나 전송하며, 장치 양측으로부터의 전기적인 간섭을 막는 장벽을 제공한다. CSU는 또한 전화회사에서 테스트 목적으로 보내는 신호에 대해 루프백 반향을 할 수 있다. DSU는 회선제어를 관리하고, RS-232C, RS-449 또는 근거리통신망으로부터의 V.35 프레임들과 T-1 회선상의 TDM DSX 프레임 사이의 입출력을 변환한다. DSU는 타이밍 에러와 신호재생을 관리한다. DSU는 DTE로서 컴퓨터와 CSU 사이에서 모뎀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CSU/DSU는 별개의 제품으로 만들어지지만, 때로는 라우터와 함께 통합되기도 한다. CSU/DSU의 DTE 인터페이스는 보통 V.35나 RS-232C 또는 이와 비슷한 직렬 인터페이스와 호환성이 있다. CSU/DSU 제작자로는 시스코, 메모텍 및 Adtran 등이 있다.
시스코는 DSU/CSU라는 용어를 더 선호한다. CSU라는 용어는 AT&T가 자신들의 비교환 디지털 데이터시스템의 인터페이스를 부르는 데에서 유래되었다. DSU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사용한 DTE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또한 시험 기능도 제공한다.

 

9. DTE:
DTE (Data Terminal Equipment) ; 데이터 단말 장치
컴퓨터 데이터 통신에서, DTE[디티이]는 컴퓨터가 모뎀이나 기타 다른 직렬장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RS-232C 인터페이스이다. DTE 인터페이스와 DCE 인터페이스에 관한 좀더 자세한 정보는, RS-232C를 참조할 것.

 

10. FEP:
FEP (Front End Processor) : 전단 처리기
FEP는 메인프레임의 통신제어를 위해 설계된 전용 컴퓨터이다. 대개 FEP의 한쪽은 통신회선에 그리고 다른 한쪽은 메인프레임에 연결되어, 메시지의 전송이나 수신, 패킷의 조립 및 해체, 에러의 감지 및 교정 등의 역무를 수행한다. 그러므로, FEP가 때로 통신제어기라는 말과 동의어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통신제어기라는 용어가 다소 유연성이 떨어지는 용어이다.
또한, FEP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에서는 백엔드, 즉 서버에 서비스를 요청하기 위한 하나의 노드 또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의미하기도 한다. FEP는 일반적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어느 정도까지 사전에 처리함으로써, 주 소프트웨어가 일을 좀 더 쉽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11. ISDN:
ISDN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종합정보통신망
ISDN[아이에스 디엔]은 다른 매체는 물론, 평범한 구리전화선 위에서도 디지털 전송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일련의 CCITT/ITU 표준들이다. 모뎀 대신에 ISDN 어댑터를 설치한 가정이나 회사의 사용자들은 최고 128 Kbps 까지의 빠른 속도로 제공되는 웹 페이지를 볼 수 있다. ISDN은 전송 양단에 어댑터가 필요하므로, 서비스제공자 역시 ISDN 어댑터가 필요하다. ISDN은 일반적으로 미국이나 유럽의 대부분 도시지역의 전화회사가 서비스를 공급하며, 우리나라에서도 한국통신에서 1993년부터 ISDN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ISDN에는 두 종류의 서비스가 있는데, 가정이나 소규모회사에는 BRI가, 많은 사용자를 위해서는 PRI 서비스가 적합하다. 두 종류 모두 여러 개의 B 채널과 한 개의 D 채널을 포함한다. B 채널에는 데이터, 음성 및 기타 다른 서비스를 전송할 수 있으며, D 채널은 제어 및 신호정보를 전송한다.
BRI는 64 Kbps 속도를 내는 2개의 B 채널과, 16 Kbps 속도를 내는 1개의 D 채널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BRI 사용자는 최고 속도 128 Kbps까지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PRI는 미국의 경우에는 23개의 B 채널과 64 Kbps 속도를 내는 한 개의 D 채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유럽의 경우에는 30개의 B 채널과 1 개의 D 채널로 구성된다.
ISDN의 개념은 음성 등의 아날로그 데이터와, 디지털 데이터를 같은 네트웍을 통해 함께 통합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비록 ISDN이 아날로그 전송을 위해 설계된 매체 상에 이러한 것들을 통합해서 전송할 수 있지만, 광대역 ISDN(BISDN)은 종단회로를 포함한 처음부터 끝까지를 광케이블과 무선 매체 등을 사용하여 이 두 가지 서비스의 통합을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광대역 ISDN은 많은 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송신하기 위한 프레임릴레이 서비스와 FDDI 그리고 SONET 등을 포함하게 될 것이다. 광대역 ISDN은 2 Mbps 이상의 빠른 속도로 전송할 수 있게될 전망이지만, 정확한 최고 속도는 아직 정의되지 않았다.

 

12. ISO: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국제표준화기구
ISO[아이에스오], 즉 국제표준화기구는 1947년에 설립되었으며, 100 여개 나라에서 온 대표자들로 구성된 국가표준화기구의 세계적인 연합체이다. ISO가 육성하는 표준들 가운데 하나인 OSI는 통신 프로토콜의 보편적인 참조 모델이다. 많은 나라들이 ANSI 등과 같은 국가표준화기구를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ISO의 표준안 작성에 참여하고 기여한다.
"ISO"는 약어가 아니다. 이 용어는 그리스어의 isos에 근원을 두고 파생된 말로서, "같다"는 의미인 "equal"의 뜻을 가지고 있는데, "iso-"라는 접두어에서 그 예를 찾아볼 수 있다 ("isometric"은 동일한 치수를 의미하며, "isonomy"는 모든 사람들은 권리가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ISO라는 이름은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을 각 나라에서 이 기구의 이름을 나름대로 번역하면서 생길지도 모르는 여러 가지의 약어들의 과잉을 막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사용된다 (이를테면, 영어권에서는 약어를 IOS라고 쓰고, 프랑스에서는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normalisation의 약어로서 OIN 등으로 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어느 나라에서든 이 기구를 의미하는 약어는 항상 ISO로 쓰인다.

 

13. ITU-T:
ITU-T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 -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ITU-T[아이티유 티]는 통신장비 및 시스템의 조합표준을 육성하기 위한 제일의 세계적인 조직체이다. 전에는 CCITT로 알려져 있었으며,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있다.

 

14. LAN:
LAN (Local Area Network) ; 근거리 통신망
LAN[랜]이란 300m 이하의 통신회선으로 연결된 PC, 메인프레임, 워크스테이션 들의 집합을 말한다. LAN은 컴퓨터 사이의 전류나 전파신호가 정확히 전달될 수 있는 거리, 즉 한 기관의 빌딩 내에 설치된 컴퓨터 장비들을 직원들이 가장 효과적으로 공동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된 고속의 통신망이다.
1970년대 말에서 1980년초 제록스사의 한 연구소에서 LAN에 관한 중요한 업적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소에서 이더넷(Ethernet ; 공기가 없는 진공상태의 공간에 전파가 흘러갈 수 있는 물질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여 지은 독일어 단어 "에테르"에서 따온 말)이라고 이름을 붙인 컴퓨터 연결방법이 처음으로 실용화되었다.
[근거리 통신망의 구성요소]
네트웍 운영체계 : 네트웍에 연결된 컴퓨터에 서버기능이나 클라이언트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해주며, 서버는 등록된 클라이언트의 이름과 부여된 권리를 검사한 뒤, 클라이언트의 요구사항을 처리하여 그 결과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하는 프로그램의 집합체이다. 주요 네트웍 운영체계로는 노벨의 네트웨어,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NT, 알리소프트의 LANtastic 등이 있다.
LAN 카드 : 컴퓨터 내부의 확장 슬롯에 끼울 수 있는 LAN 카드는 컴퓨터와 전송선을 이어주는 장치이다. LAN 카드는 전압이 낮은 컴퓨터의 2진 병렬 전류신호가 회선을 타고 멀리갈 수 있도록 전압이 높은 직렬신호로 변환시켜주는 일종의 프로세서가 내장된 작은 플라스틱 카드 회로판이다. LAN 카드는 통신망과의 접속장치이기 때문에 네트웍 접속카드라고도

 

15. MODEM:
modem (modulator/demodulator) ; 모뎀 또는 변복조기
모뎀은 컴퓨터에서 나가는 디지털 신호를 전화회선을 통해 보낼 수 있도록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고(변조), 들어오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주는(복조) 장치를 말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전화회선이나 전용회선은 음성급으로 구성되어서 디지털 신호가 통과하면 많은 감쇠가 일어나므로, 50 피트 이상 떨어져 있는 장비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모뎀이 필요하게 된다. 모뎀은 크게 송신부와 수신부로 나눌 수 있다. 송신부는 디지털 신호가 인코더에 입력되어 "1" 이나 "0" 이 더이상 나오지 않도록 스크램블 된 후 변조기로 들어간다. 여기서 약 1700~1800 Hz 정도의 반송 주파수로 변조된 후 아날로그 형태로 변형된 다음, 대역제한 여파기를 거쳐 송신선로로 나가게 된다.
수신부는 통신선로로부터 들어오는 아날로그 신호가 대역제한 여파기를 거쳐 원하는 부분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받은 후, 자동 이득조절기(AGC ; automatic gain control)로 들어가서 적절한 크기로 분할된다. 아날로그 신호는 복조기를 통해 복조된 후 디지털신호로 변환되고, 다시 데이터 디코더를 거쳐 본래의 데이터로 환원된다.
모뎀은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Bell 표준과 유럽을 중심으로 한 CCITT 표준의 두가지 표준이 있다. 이 두 개의 표준은 유사한 경우도 있으나, 전혀 다른 경우도 있어 서로 호환성을 갖지 않는다. 전화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용 모뎀에 관한 권고는 V 시리즈로서 그 내용은 다음 표와 같다. CCITT 규격 Bell 규격 전송속도(bps) 회선 동기형태 전송형태 변조방식
V.21 103A 300 PSTN 비동기 FDX FSK
V.22 212A 300/1200 PSK
V.23 202A 600/1200 HDX FSK
V.26 201B 2400 전용회선 동기 FDX QPSK
V.27 208A 4800 8-PSK
V.29 209A 9600 QAM
최근 몇년 사이의 빠른 기술변화로 2,400 bps 속도의 모뎀은 퇴역하여 더이상 사용하지 않게 되었으며, 14,400 bps 나 28,800 bps 모뎀조차 좀더 빠른 전송속도로 가기 위한 중간단계였다. 1998년 초반부터 출시되는 PC들에는 56 Kbps 모뎀이 장착되고 있으며, 동일한 전화회선에 모뎀 대신 디지털 ISDN 어댑터를 장착하면 전송속도를 128 Kbps까지 높일 수 있고, DSL 기술을 채용하면 전송속도를 수 Mbps 범위까지 향상 시킬 수 있게 되었다.
모뎀은 컴퓨터와 직렬 포트나 USB 포트를 통해 연결해 사용할 수 있는 외장형 모뎀과, PC의 확장 슬롯 등에 꽂아쓸 수 있는 확장카드 형태의 내장형 모뎀(왼쪽 그림 참조), 그리고 노트북 컴퓨터 등에서 사용하는 PCMCIA 카드형 모뎀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데이터의 송수신 뿐 아니라, 음성이나 팩스 송수신 기능까지도 함께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16. MULTICS:
Multics (multiplexed information and computing service) ; 멀틱스
멀틱스는 미국의 MIT와 GE 그리고 벨연구소의 공동작업으로 1963-1969년 사이에 개발된 메인프레임용 시분할 운영체계였다. 멀틱스는 페이지 세그먼트형 저장 방식을 사용했던 최초의 운영체계 중 하나이다. 이 운영체계는 PL/I으로 작성되었으며, GE의 하드웨어에서 운영되었다. 1970년에 벨연구소는 이 사업에서 발을 빼었고, GE의 컴퓨터 부문을 인수한 하니웰이 하드웨어 제공자로서의 역할을 지속해 나갔다. 미국의 고등연구사업국이 지원이 이 사업을 계속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1973년에 하니웰은 6180이라는 상용시스템을 발표하였는데, 이 시스템은 각 1 MIPS의 처리속도를 가지고 있는 두 개의 프로세서에 768 KB의 메모리, 8 MB의 벌크 스토리지, 1.6 GB의 하드디스크, 8개의 테이프 드라이브 그리고 두 개의 통신 제어장치를 장착하고 있었다. 이 시스템의 가격은 대략 미화 7백만 달러 정도였다. 후에, NSS (new storage system)라고 불리는 다중 디스크 시스템이 추가되었다. 1977년에 하니웰은 최초의 상용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인 MRDS, 즉 Multics Relational Data Store를 발표하였다.
그동안 멀틱스 고객에는 제너럴 모터스, 포드, 그리고 Industrial Nucleonics 등이 포함되었다. 1980년대 말까지 멀틱스를 인텔과 같은 보다 전략적인 프로세서 기반으로 이주시키려는 노력은 실패로 돌아가고, 하니웰은 멀틱스의 유지보수를 마지막 고객사 중 하나인 캘거리 대학으로 이양하였으며, 캘거리 대학은 지역회사인 CGI 그룹으로 그 권리를 넘겼다. 1998년 9월 현재, CGI 그룹은 단 하나 남은 멀틱스 시스템의 운영을 계속하고 있다.

 

17. NC:
NC (network computer) ; 네트웍 컴퓨터
네트웍 컴퓨터는 오라클과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의 두 회사로부터 나온 개념인데, Net PC 처럼 네트웍 전용의 값싼 개인용 컴퓨터를 의미한다. 이 컴퓨터는 CD-ROM 드라이브, 디스크 드라이브, 확장 슬롯 등이 전혀 없는 채, 오직 필수적인 장치만을 장착하며, 나머지 것들은 모두 중앙에서 유지관리하는 개념이다.
Net PC와는 달리, 네트웍 컴퓨터는 인텔제품이 아닌 다른 회사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할 수 있으며, 윈도우 대신 자바 기반의 운영체계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웍 컴퓨터는 Net PC와 함께 씬 클라이언트로 일컬어지기도 한다.

 

18. OSI:
OSI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 접속
[주] 그림으로 나타낸 OSI 참조 모델을 참고할 것
OSI[오에스아이]는 통신 네트웍으로 구성된 컴퓨터가 어떻게 데이터를 전송할 것인가에 대한 표준규약 또는 참조 모델이다. 이것의 목적은 통신 제품을 만들 때 다른 제품과 모순됨이 없이 통신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 참조 모델은 통신의 종단에서 이루어지는 기능을 7 계층으로 정의했다. OSI가 잘 정의된 계층마다 관련된 기능을 따르도록 강하게 고수하지 않아도, 대부분의 제품들은 OSI 모델에 관련된 정의들을 따르기 위해 노력한다. OSI 모델은 또한 모든 사람이 동일한 관점에서 통신에 대해 교육하고, 논의하는 유일한 참조 모델로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
주요 컴퓨터와 통신 회사 대표자들에 의해 1983년부터 개발이 시작된 OSI는 본래 인터페이스 사이의 상세 규정을 시도했다. 그러나 위원회는 다른 것들 간에 상세 인터페이스 규정을 개발할 수 있는 공통의 참조 모델을 확립하기로 결정하였으며, 그것은 표준이 될 수 있었다. OSI는 ISO에 의해서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었다. 현재, 이것은 ITU의 권고 X.200 이다.
OSI의 주된 개념은 통신 네트웍으로 구성된 두개의 종단 이용자 사이에서, 통신 처리를 각 계층이 가지고 있는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계층별로 나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각 통신 이용자는 7 계층의 기능을 갖는 컴퓨터를 이용한다. 이용자들 사이에 메시지가 주어지면, 컴퓨터에서 한 계층씩 아래로 각 층을 통과하여 데이터가 흐르게되고, 다른 쪽에서는 메시지가 도착할 때 메시지를 받는 컴퓨터는 한 계층씩 위로 통과하여 이용자에게 전달 될 것이다. 실제로 이러한 7 계층의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나 장치는 컴퓨터 운영체계, 웹 브라우저와 같은 응용프로그램, TCP/IP 또는 다른 트랜스포트 네트웍 프로토콜과 이용자의 컴퓨터에 구성된 회선을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가 함께 결합된다.
OSI는 7 계층으로 통신을 나누는데, 이 계층들은 다시 2개의 그룹으로 나뉜다. 상위 4 계층은 이용자가 메시지를 주고받는데 사용된다. 네트웍 계층까지의 아래의 3 계층은 메시지가 호스트를 통과 할 수 있도록 한다. 컴퓨터에 보내진 데이터는 위 계층으로 전달된다. 다른 컴퓨터에 보내진 메시지는 위 계층으로 전달되지 않고 다른 호스트로 전달된다.
7 계층을 하나하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7 계층 : 응용계층 ... 이 계층에서는 통신상대, 서비스 품질, 사용자 인증과 비밀을 고려하고, 데이터 구문의 제약을 정한다 (이 계층은 응용 프로그램이 응용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응용프로그램 자체는 아니다).
6 계층 : 표현 계층 ... 이 계층은 운영체계의 한 부분으로 입력 또는 출력되는 데이터를 하나의 표현 형태에서 다른 표현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텍스트로 도착한 데이터를 팝업 윈도우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다). 표현 계층을 문법 계층이라고 하기도 한다.
5 계층 : 셰션 계층 ... 이 계층에서는 종단 호스트 프로그램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받기 위한 설정을 하고, 데이터를 받는 동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 계층은 통신 세션을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4 계층 : 트랜스포트 계층 ... 이 계층은 종단간 제어와 에러를 관리한다. 즉,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한다.
3 계층 : 네트웍 계층 ... 이 계층은 데이터 경로를 제어한다 (패킷이 정확한 수신자에게 보내지도록 올바른 경로는 제어하여 수신 쪽에서 받을 수 있게 한다). 네트웍 계층은 경로를 설정하고 다른 쪽으로 전송한다.
2 계층 : 데이터링크 계층 ... 이 계층은 물리적 레벨의 에러 제어와 동기를 제공하고, 5를 초과하는 1의 스트링으로 비트화한다. 이 계층은 전송 확인과 관리를 담당한다.
1 계층 : 물리 계층 ... 이 계층은 전기 기계적으로 체계를 갖춘 네트웍을 통하여 비트열을 나른다. 이 계층은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는 하드웨어 수단을 제공한다.

 

19. POS:
POS (point of sale) ; 판매시점관리
POS[포스]란 판매와 관련된 데이터를 물품이 판매되는 그 시간과 장소에서 즉시 취득하는 것이다. POS 시스템은 상품에 붙어있는 바코드를 읽어들이는 바로 그 시점에 재고량이 조정되고, 신용조회 등 판매와 관련되어 필요한 일련의 조치가 한번에 모두 이루어지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하여 POS 시스템은 바코드리더, 광학스캐너 카드리더 등이 계산대와 결합되어 있는 PC나 또는 특별한 단말기를 사용한다. POS 시스템은 신용조회나 재고량 조정 등을 위해 중앙컴퓨터와 온라인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일괄처리를 위해 주전산기에 전송되기 전까지 일일거래를 저장하기 위해 독립된 컴퓨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20. SMDS:
SMDS (Switched Multimegabit Data Service)
SMDS는 광역통신망을 통해 다른 회사들과 지속적이지는 않지만 돌발적으로 많은 량의 데이터를 주고받아야 할 필요가 있는 기업체들을 겨냥해서 나온 공중 패킷 교환방식의 서비스이다. SMDS는 이러한 종류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구조와 일련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SMDS는 넓은 지역에 걸쳐 있는 회사의 근거리통신망을 필요시마다 연결함으로써 성능과 효율을 확장시켜준다.
SMDS는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네트웍의 접속을 확립할 필요가 없는 "커넥션리스"이다. 이것은 주로 근거리통신망에서 볼 수 있는 돌발적 데이터 송신 요구에 따른 대역폭을 제공한다.
SMDS 패킷은 최고 7,168 바이트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이것은 가장 보편적인 랜 패킷을 받아들이기에 충분하리 만치 큰 것이다. 각 패킷은 발신지 주소와 수신지 주소를 포함하며, 다른 패킷들과는 별도로 보내진다.
SMDS를 사용하는 각 기업은 필요에 따라 한개에서 16개까지 고유한 SMDS 주소가 할당되는데, 하나의 주소는 마치 평범한 전화번호처럼 보이는 10자리의 숫자로 되어 있다.
SMDS는 또한 여러 개의 SMDS 주소지에 한번에 보낼 수 있는 브로드캐스팅 패킷도 제공한다. 각 SMDS 회사는 수신그룹을 정의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그룹주소가 배당된다. 그룹주소는 LAN의 멀티캐스팅과 비슷한 것이다. 그것은 TCP/IP와 같은 라우팅 프로토콜이 동적으로 주소를 찾고 라우팅 정보를 갱신하게 한다.
SMDS는 공중서비스이기 때문에 어떤 SMDS 이용자라도 다른 이용자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SMDS 동아리 그룹, 서비스제공자 연합, 장비제작자, 그리고 사용자들이 함께 기술규격을 개발하고, SMDS에 관한 관심을 고취시키며, 새로운 활용분야를 발굴하고, 그리고 전세계적으로 서비스에 대한 상호운용 가능성을 보증하고 국제적으로 제휴관계를 맺으며 함께 일하고 있다. 그들의 홈페이지에 SMDS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들의 목록이 제공된다.

 

21. SNA:
SNA (Systems Network Architecture)
SNA[에센에이]는 기업 내의 네트웍 컴퓨팅을 구현하기 위해 1974년에 소개된 IBM의 메인프레임 네트웍 표준이다. 원래는 많은 수의 단말기를 제어하는 호스트 컴퓨터용 중앙집중식 아키텍처였으나, APPN이나 APPC와 같은 기능향상이 이루어짐으로써, 현재는 peer-to-peer 통신과 분산 컴퓨팅 환경에 알맞게 변화되었다. 이것은 IBM의 SAA (Systems Application Architecture) 이전부터 있었다가 SAA의 일부가 되었고, 현재는 IBM의 Open Blueprint의 일부이다. 여러 기업이 함께 네트웍 컴퓨팅을 하게되는 인터넷과, 사실상의 개방형 네트웍 아키텍처인 TCP/IP의 탄생과 함께, IBM은 대형 네트웍상의 업무를 위해 TCP/IP를 사용하는 기업 내에 자사의 SNA를 결합시키는 방법을 찾고 있었다.
SNA 그 자체는 여러 가지 기능적 계층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VTAM이라고 불리는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와, 제어정보와 데이터 그리고 데이터링크 계층의 교환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인 SDLC를 포함한다. SNA는 어느 정도의 셋업기능을 제공하는 물리적인 유니트와, 특정한 네트웍 트랜잭션과 관련되는 논리적 유니트를 모두 담고 있는 노드의 개념들을 포함한다.


+ Recent posts